Haegue Yang: Lost Lands and Sunken Fields
February 1, 2025 – April 27, 2025
The Nasher Sculpture Center, Dallas, USA

Installation view of Haegue Yang: Lost Lands and Sunken Fields, The Nasher Sculpture Center, Dallas, USA, 2025
Photo: Kevin Todora

 

Press Release (ENG)

Over the past three decades, Haegue Yang (born 1971, Seoul, South Korea) has developed a prolific and hybrid body of work that folds quotidian objects and folk traditions into the can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sculpture-making. Informed by in-depth exploration into vernacular techniques and related customs and rituals, along with her continual movement through disparate cultures, Yang’s work is both homage to and critique of the modernist project toward singular Western domination. Lost Lands and Sunken Fields will occupy both levels of the museum’s galleries and garden, engaging a dialectic of contrasts: light and dark, aerial and grounded, buoyant and heavy, spare and dense, interior and exterior.

Upon entering, museum visitors will find a group of suspended sculptures taking inspiration from centuries-old kite-making traditions titled Airborne Paper Creatures – Triple Synecology (2025). The three sculptural groups build upon the artist’s recent paper and bamboo kite series, Spring Sailors – Six Synecologies Aloft, which debuted in late 2024 for Lahore Biennale 03. Though emerging from similar points of reference, the kites at the Nasher take on greater physicality through the use of CNC laser-cut birch plywood to compose the flat, primary body. Airborne Paper Creatures are then skinned with cut-mulberry or marbled paper embellishments, and adorned further with diverse beads, Punjabi goat bells, and, in some cases, parandy—traditional Punjabi hair ornaments made of multicolored silk threads and ornamental tassels.

Airborne Paper Creatures take flight as abstracted forms of fauna named for the actions they take: flutterers (birds), swimmers (marine life), and crawlers (insects). The secondary title for the series, Triple Synecology, refers to the study of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that share a habitat. As installed in this transitional space of the building—just beyond the entrance and ahead of the threshold to the garden—Airborne Paper Creatures call attention to the felt and heard environment. Currents of airflow prompted by the continual movement taking place just beneath the kites trigger subtle motion and the resonating sound of the bells.

In the adjacent gallery, Yang’s Mignon Votives (2025) signal a shift in the artist’s sculptural production with two groups of diminutive sculptures emerging from a natural environment of moss and river rock. The broad horizontal plane of the installation suggests an interior landscape evocative of Bogil Island’s pebble stone beaches and the Buyongdong gardens designed by the poet Yun Seon-do (1587–1671) during his exile to the southernmost tip of the Korean Peninsula.

On one half of the gallery, Mignon Votives – Seedpod Statues (2025) arise from the moss-covered ground. Comprising pinecones supported by bases of branches, roots, or driftwood, Seedpod Statues are intricately embellished with a mélang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such as artificial plants, feathers, bells, synthetic hair, dried spices, beads, pill capsules, q-tips, cotton blossoms, and other everyday objects. Reminiscent of bonsai, the miniature-scaled Seedpod Statues suggest a sculptural evolution of the pinecones, resulting in hybrid forms that are at once natural and alien.

On the other half of the gallery Mignon Votives – Pebble Parades (2025), small cairns of synthetic stones, emerge from a river rock terrain and echo the universal ritual of stone stacking as an act of prayer for good fortune with simple offerings like bills sandwiched in between the layers of stones. The selection of facsimile banknotes here reflects the artist’s focus on the wide variety of fauna typically found on paper currency,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motifs of human figures, like royalty or politicians. In the midst of the field of river rock, Pebble Parades boast colorful imagery of such majestic creatures as elephants, rhinoceroses, llamas, and other wildlife as a form of heraldry. Together, the wish towers of stones and paper bills conflate monetary systems with the natural world to imply an arcane transactional tradition between culture and nature.

In the garden by the cafe’s terrace, a woven black plastic twine sculpture titled The Intermediate – Six-Legged Carbonous Epiphyte Imoogi (2025) stretches its tentacle-like legs along a fountain wall. The imoogi, a snake-like mythological creature described in folklore as a “failed” giant dragon, is a recurring character in Yang’s ongoing series The Intermediates (2015–). This new iteration is both grounded and suspended and provides a dialogic link to related sculptures on view in the Nasher’s subterranean spaces.

Beneath the museum’s stairs, a heterogenous threesome of sculptures transitions visitors from the light-filled, street-level galleries to the underground spaces of the Nasher’s Lower Level. Along the wall, Rotating Reflective Running Blade-Handle Faucets Identical Twins – Black Circles #24 (2023) is flanked by the new sculpture Radial Tousled Epiphyte (2025)—Yang’s first relief to incorporate paper flowers and the initial use of marbled paper in the artist’s works. The title describes its radial shape, as well as the role its paper flowers play as non-parasitic plants (epiphytes) growing on a butterfly-shaped creature. Radial Tousled Epiphyte is a continuation of Yang’s paper flower-making, which initially manifested as pagoda lanterns, with abundant ornamentations referencing Buddhist or shamanistic ritual objects.

Both wall-mounted sculptures are backed by a black and white vinyl that plays with viewers’ perception and illusion. With its abstract, shifting patterns, the wall treatment suggests movement that becomes actualized through the Rotating Reflective Running Blade-Handle Faucets Identical Twins sculpture, whose mirroring circular elements spin when activated. When spinning, the faucets and water hoses begin to rotate, yet the mirrored image of the viewer remains still. For the artist, the artwork’s rotation refers to the intensity of movement without any change in location, suggesting an “unlearning” of many preconceptions about motion. The black water hoses transform into a pair of perfect circles when the sculpture is activated, revealing another leitmotif of Yang’s work: the twinning or pairing of objects, materials, or themes. This is further referenced through the inclusion of the artist’s Non-Indépliable, nue – Strive and Stake Blue (2018) in the context of this installation here under the landing, while its counterpart, Non-Indépliable, nue – Strive and Stake Orange (2018) appears across the museum’s lower level.

Nearby, in the Nasher’s subterranean vestibuled gallery, is Yang’s dimly lit Cenote Observatory, a dense and immersive survey of anthropomorphic sculptures created between 2016 and 2025. At the center of the installation is Umbra Creatures by Rockhole (2017–18), a seven-part sculptural ensemble either suspended or standing freely on casters that boast voluminous and tentacled bodies replete with bushy, hairy, metallic, and woven surfaces. Umbra Creatures by Rockhole bridges two series also in Cenote Observatory: Sonic Sculptures (2013–) and The Intermediates. Made of plastic twine, The Intermediates allude to weaving crafts practiced by agricultural societies, while Sonic Sculptures, are made with metal bells. When activated, these sculptures produce a subtle rattling soundscape, in an allusion to ancient rituals. Also included in Cenote Observatory is Non-Indépliable, nue – Strive and Stake Orange, the counterpart to Non-Indépliable, nue – Strive and Stake Blue, which is on view under the landing of the Lower Level. Both sculptures are part of Yang’s series Non-Indépliables, nue (2010–), in which the ready-made drying rack is adorned with electrical cords, light bulbs, and other objects, such as pill boxes. Spanning nearly a decade of the artist’s career, the group of 20 sculptures is set in front of wallpaper that suggests an opening to an infinite vista, transforming the white cube gallery into a cave-like portal to another world.

 

Press Release (KOR)

양혜규는 지난 30여 년간 근현대 조각의 전통적 규범에 일상적 사물과 민속 전통을 접목시켜 다채롭고 혼종적인hybrid 작품 세계를 구축해 왔다. 서로 다른 문화를 끊임없이 넘나드는 이동 혹은 이주의 경험, 특정 지역의 토착적인 기법, 그리고 이와 관련된 관습 및 의식에 대한 심층적 탐구에 기반한 양혜규의 작품 세계는 근대성modernity의 다원성에 대한 경의를 담는 동시에 서구 모더니즘의 단일성을 비판한다. 미술관의 로비를 포함한 1층과 지하 전시장, 그리고 조각 공원 등 전관의 다양한 공간에서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빛과 어둠, 공중과 지상, 가벼움과 무거움, 중력과 부력, 희소함과 밀도 등 대조의 변증법에 대한 작가의 면밀한 탐구이자 미술관의 건축적 특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물이다. 특히 이런 의도는 출품작에서도 드러나는데 이번 전시 작품의 대부분은 자연을 품고 있음에도 매우 작고 가벼운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술관 1층 로비에 들어서면 자연광이 은은히 투과하는 천장에 매달린〈공중 지류 생물 – 삼중 군집생태Airborne Paper Creatures – Triple Synecology〉(2025) 를 만날 수 있다. 아시아 전역에서 수 세기 동안 계승되고 있는 연鳶 제작 전통에서 영감 받은 이 신작 조각군은 지난 2024년 하반기에 작가가 제3회 라호르 비엔날레에서 처음 선보인, 종이와 대나무로 만든 연 조각 〈봄 항해자 – 여섯 공중 군집생태Spring Sailors – Six Synecologies Aloft〉(2024)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두 작품은 연 제작 전통이라는 참조점을 공유하지만, 특히 이번에 선보이는 작품은 레이저 절단 기술로 정교하게 디자인한 자작나무 합판 본체가 각각 바다 생물, 조류, 곤충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각 조각의 표면에는 한지와 마블지를 오려 만든 문양과 장식, 작은 거울 피스, 그리고 파키스탄 펀자브Punjab 지역에서 사용하는 염소 방울과 다양한 색의 비단실 및 술tassels로 만든 머리 장식 파란다paranda 등으로 치장되어 더욱 화려한 자태를 뽐낸다.

〈공중 지류 생물 – 삼중 군집생태〉를 구성하는 세 개의 작품은 각각 크기가 다른 세 점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물의 추상적 형태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새의 형상을 한 ‘펄럭Flutterers,’ 바다 생물을 닮은 ‘첨벙Swimmers,’ 그리고 곤충과 비슷한 ‘엉금Crawlers’은 각자의 이름과 특징에 걸맞는 모습으로 비상한다. 작품의 부제인 ‘삼중 군집생태’는 자연 세계의 서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種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탐구를 암시한다. 아름다운 내셔의 외부 정원으로 이어지는 입구에 설치된 이 작품은 관람객의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공기의 흐름, 방울의 미묘한 움직임, 그리고 소리의 공명을 통해 해당 공간 및 주변 환경을 촉각적, 청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공감각적 환경으로 변모시킨다.

입구에서 바로 옆으로 이어지는 같은 층의 전시장에서는 신작 〈아담한 봉헌Mignon Votives〉(2025)이 소개된다. 작가가 처음으로 미니어처 조각과 수평적인 자연 풍경의 결합을 시도한 작품으로, 일종의 전환점을 암시한다. 15개씩 두 그룹의 소형 조각으로 구성된 이 조각군은 강에서 온 자갈과 건조 이끼 같은 유기적인 물질로 전시장 바닥을 덮어 만든 일종의 유사-자연 환경 속에 배치되어 있다. 작가는 조선시대 중기 문신이자 시인인 고산 윤선도(1587–1671)가 유배 중 일대의 경치에 반해 머물게된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도甫吉島의 예송리 자갈 해변과 고산이 설계하고 여생을 보낸 윤선도 원림에서 영감을 받았다. 자연의 형태를 띤 이번 설치작은 태양광이 아름답게 비추는 전시장 전반에 걸쳐 낮고 넓게 펼쳐지며 관람객의 시선을 자연스레 땅으로 이끈다. 동시에〈아담한 봉헌〉은 분재 혹은 수석 같은 준-자연적 형식을 띤 문화적 참조물을 연상시키며, 나즈막히 공명하는 자갈 해변의 소리를 배경으로 자연 환경을 전시장안으로 끌어들인다.

〈아담한 봉헌 - 씨앗 주머니 입상Mignon Votives – Seedpod Statues〉(2025)은 이끼로 뒤덮인 전시장의 바닥에 하나 둘 피어 오르는 형국의 조각군이다. 나뭇가지, 뿌리, 그리고 유목流木을 지지대로 삼은 솔방울이 조각의 중심을 이루고, 여기에 인공 식물, 깃털, 방울, 합성모발, 건향신료, 구슬, 알약 캡슐, 면봉, 목화솜 등 일상의 유기적 · 비非유기적 오브제가 혼합되어 각기 다른 서사를 구성한다. 분재를 연상시키는 이 소형 작품은 자연적인 동시에 이질적인 혼종적hybrid 형태를 이루는 솔방울의 조각적 진화를 보여준다.

전시장의 반대편에서는 인조 자갈로 쌓은 돌탑 형태인 〈아담한 봉헌 – 돌멩이 행진Mignon Votives – Pebble Parades〉(2025)가 선보인다. 쌓아 올린 돌 사이에 지폐를 살짝 끼워 행운을 염원하는 인류 공통의 의례인 돌탑쌓기를 전시장에 재현한 작품이다. 작가는 각 나라의 왕족이나 정치인 등이 등장하는 통상적인 지폐 대신, 각 나라의 대표적 동물의 형상을 담은 지폐를 제물로 선택했다. 코끼리, 코뿔소, 라마, 곤충, 조개류, 조류 등 전통적 문장紋章으로 사용된 동물군의 도상이 다채롭게 그려져 있는 지폐를 복제하여 고대 문명 전반에 걸쳐 존재했던 기원 행위를 담고 있는 돌탑을 조각군으로 구성했다. 인간 세계의 질서를 장악해온 지폐라는 문명적 모티프를 통해 작가는 인간과 비非인간의 세계를 결합하기를 기원하고, 문명과 자연 사이에 발생한 불가사의한 교환 전통을 고찰한다.

한편 카페 테라스에 면한 미술관의 정원에서는 〈중간 유형 – 탄소 맞은 육발 착생 이무기The Intermediate – Six-Legged Carbonous Epiphyte Imoogi〉(2025)가 설치된다. 분수가 있는 공간을 가르는 낮은 담장을 따라 두꺼운 검은 플라스틱 끈을 엮어 만든 이 작품은 촉수 같은 긴 다리를 사방으로 뻗고 있는데, 이는 작가가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작업해오고 있는 〈중간 유형The Intermediates〉연작 중 한 형태이다. 물뱀과 같이 긴 다리가 특징인 이 작품은 한국의 민속설화에 등장하는 용으로 승천하려다가 실패한 신화적 동물인 이무기로, 땅에 깔려 있는 동시에 주변의 나무 가지에 다리를 걸치고 공중에 부양하는 형상을 띠고 있어 내셔 조각 센터의 지하 공간에서 전시 중인 다른 유사한 조각군의 작품과도 연결된다.

미술관의 계단을 따라 지하 전시 공간으로 내려가면 서로 다른 세 점의 조각이 관람객을 맞는다. 계단 아래의 벽면에〈회전하고 반사하며 흐르는 핸들형 수도꼭지 일란성 쌍둥이 – 검정 원형 #24 Rotating Reflective Running Blade-Handle Faucets Identical Twins – Black Circles #24〉(2023)과 작가가 처음으로 마블지를 사용한 작업이자 역시나 처음으로 부조에 지화를 접목시킨 신작 〈방사형 난발 착생식물Radial Tousled Epiphyte〉(2025)이 나란히 자리한다. 작품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화려한 지화로 장식된 이 방사형 작품은 착생식물이 나비 모양의 생물에서 돋아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는 불교나 샤머니즘 전통을 기반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탑등의 형태로 시작했던 양혜규의 지화 작업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관람객의 인식과 환상을 자극하는 흑백 벽지 위에 설치된 두 점의 조각 작품은 각기 다른 작업이지만 상징적인 운동성을 공유하고 있다. 〈회전하고 반사하며 흐르는 핸들형 수도꼭지 일란성 쌍둥이Rotating Reflective Running Blade-Handle Faucets Identical Twins〉는 선으로 방향성 있게 구성된 추상적인 배경과 맞물려 작품의 내재된 움직임을 암시하는데, 작품을 구성하는 수전과 호스는 회전하는 반면 원판 거울에 반사된 관람객의 이미지는 고정되는 원리다. 작가에게 있어서 작품의 회전이란 장소에 변화를 주지 않은 채 움직임에 내재된 운동성을 강화시키는 의미를 띠며, 움직임에 관한 일반적인 인식을 잊는unlearning 행위이기도 하다. 조각이 움직일 때 두 개의 검은색 호스도 회전하면서 완벽한 원형을 그려내는데, 이는 오브제, 재료, 주제 등 서로 상반된 개념 및 대상을 짝지우거나pairing 하나로 묶는twinning 방식으로 상호연결성을 도출하는 작가의 핵심 주제를 담아낸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 주제는 층계참 아래 설치된 〈비非-접힐 수 없는 것들, 벌거숭이 – 분투와 이해관계 청색Non-Indépliables, nue - Strive and Stake Blue〉(2018)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이와 대응하는 〈비非-접힐 수 없는 것들, 벌거숭이– 분투와 이해관계 주황색Non-Indépliables, nue - Strive and Stake Orange〉(2018)도 지하 전시장에서 함께 만날 수 있는데, 이 두 점의 〈광원 조각Light Sculptures〉은 기성품이자 일상을 상징하는 빨래 건조대를 뼈대 삼아 장식된 전선, 전구, 그리고 요일이 표시된 알약통와 같은 몇몇 질병을 지시하는 요소들이 함께 삶을 서사하고 있다.

작가는 전시 작품의 구성에 있어서도 대조의 방식 및 대칭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의도한다. 채광이 좋은 1층의 전시 공간에 유유히 부유하는 설치작이나 바닥에 낮게 소형 조각군을 배치한 것과 달리 지하 전시장에는 사람 형상과 크기의 조각군이〈용식함지溶蝕陷地 전망대Cenote Observatory〉라는 제목 아래 밀도 있게 전시된다. 2016년부터 최근까지의 조각군으로 구성된 이 전시장의 중심에는〈암혈巖穴 주위 음지 생물Umbra Creatures by Rockhole〉(2017–18)이 자리하고 있다. 총 일곱 점으로 구성된 이 조각 앙상블은 공중에 매달려 있거나 바퀴가 달려있고, 무성한 털로 뒤덮여있는 한편 금속과 직조의 느낌이 공존하는 표면을 드러내는 등 각기 다른 방식으로 불가사의하면서도 매혹적인 존재감을 발산하며 몰입적 환경을 조성한다.

특히 〈암혈巖穴 주위 음지 생물〉은 이 조각군을 구성하는 또 다른 연작인〈소리 나는 조각Sonic Sculptures〉(2013–)과 〈중간 유형〉의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 인공 짚을 엮어 만든 〈중간 유형〉은 농경 사회에 사용되었던 짚풀 공예를 연상시킨다. 반면 〈소리 나는 조각〉은 금속 방울로 장식된 오브제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시 기간 동안 미술관 관계자에 의해 간헐적으로 활성화될 예정이다. 이때 작품에서 섬세하게 울려퍼지는 방울 소리는 청각적 파노라마를 만들어내며 고대의 제의식諸儀式을 은유한다. 미지의 풍경으로부터의 초대를 암시하는 듯 밀집해 서 있는 이 조각군은 중립적인 화이트큐브 공간을 조각 생명체들이 서식하는 동굴이자 다른 차원의 세계로 이어지는 통로로 탈바꿈시킨다.

내셔 조각 센터의 임시 관장 겸 수석 큐레이터인 제드 모스Jed Morse는 이번 양혜규의 전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양혜규의 작업은 우리가 살아가는 다면적 세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양혜규의 조각들은 공중을 부유하고 짤랑거리는 소리를 내는가 하면 춤을 추기도 하면서, 끊임없이 놀라움을 안기고 도약하는 동시에 다양한 경험 속에서 의미를 만드는 데 있어 사물중심적인 역할을 조명한다. 이토록 매혹적인 양혜규의 예술 세계를 댈러스의 관람객들에게 선보이게 되어 매우 기쁘다.”

 


Exhibited works

Airborne Paper Creatures, 2025

Knotty Spell in Windy Weeping Forsythia, 2016

Mignon Votives, 2025

Non-Indépliables, Nues, 2010

Radial Tousled Epiphyte, 2025

Rotating Reflective Running Blade-Handle Faucets Identical Twins – Black Circles #24, 2023

Sonic Cloth – Iridescent and Silver, 2023

Sonic Clotheshorse – Dressage #3 and Sonic Clotheshorse – Dressage #4, 2019

Sonic Cosmic Rope – Light Blue Dodecagon Straight Weave, 2023

Sonic Instruments – Wands with Multiple Tails, Brass Plated, 2016

Sonic Rampant Crimson Turbine Vents, Double Decker – Silver Green, 2022

Sonic Rotating Whatever Openings on Hemisphere #15, 2022

The Intermediate – Antenna Basket on Rings, 2017

The Intermediate – Frosty Pom-Pom Shield with Cross Forehead, 2020

The Intermediate – Moonstruck Turbine Vents, White, 2019

The Intermediate – Six-Legged Carbonous Epiphyte Imoogi, 2025

Umbra Creatures by Rockhole, 2017

Woven Paired Archi-Heads in Six Folds – Accentuated Brown and Gray, 2017

 

back